2019년 4월중 가계대출 동향(잠정)
2019년 4월중 가계대출 동향(잠정)
◇‘19.4월중 全금융권*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+5.1조원으로 전년 동월(+7.3조원) 대비 △2.2조원 축소, 전월(+0.9조원) 대비 +4.2조원 확대
* 금융감독원 감독ㆍ검사대상(은행, 보험사, 상호금융, 저축은행, 여전사) + 새마을금고
ο 은행권(+4.5조원)은 전년 동월(+5.1조원) 대비 △0.6조원 축소, 전월(+2.9조원) 대비 +1.6조원 확대
ο 제2금융권(+0.6조원)은 전년 동월(+2.1조원) 대비 △1.5조원 축소, 전월(△2.0조원) 대비 +2.6조원 확대
◇ ’19.1~4월중 증가규모는 +7.0조원으로 전년 동기(+20.6조원) 대비 △13.6조원 축소
|
1 | ‘19.4월중 금융권 가계대출 동향 |
□ (개 요) ‘19.4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은 +5.1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7.3조원) 대비 △2.2조원 축소(전월 +0.9조원 대비 +4.2조원 확대)
ㅇ 이는 全금융권 기타대출 증가규모 축소(+4.9조원→+2.9조원) 및 제2금융권 주담대 감소(△0.1조원→△1.4조원)에 기인
□ (은행권) ‘19.4월중 +4.5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5.1조원) 대비 △0.6조원 축소, 전월(+2.9조원) 대비 +1.6조원 확대
ㅇ (주담대 : +3.6조원) 집단대출 확대* 등에 따라 전년 동월(+2.5조원) 대비 +1.1조원, 전월(+2.8조원) 대비 +0.8조원 확대
* 은행권 집단대출 증가규모(조원) : (’18.4) +1.0 → (’19.4) +2.1
은행권 주담대 증감 현황(조원) : (’18.2) +1.8 → (’18.3) +2.8 → (’18.4) +2.5 / (‘19.2) +2.4 → (‘19.3) +2.8 → (‘19.4) +3.6
** ’19.4월중 은행권 주담대는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중소기업 취업청년을 위한 버팀목 전세대출 취급액(+0.6조원)이 기금이 아닌 은행재원으로 취급된 부분 포함
(이를 제외할 경우 ’19.4월중 증가규모는 전년 동월(+2.5조원) 보다 소폭 증가한 +3.0조원 수준)
ㅇ (기타대출 : +0.9조원) 전년 동월(+2.7조원) 대비 △1.8조원 축소, 전월(+0.0조원) 대비 +0.9조원 확대
- 기타대출 중 신용대출은 +1.0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1.3조원) 대비 △0.3조원 축소, 전월(△0.1조원) 대비 +1.1조원 확대
□ (제2금융권) ‘19.4월중 +0.6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2.1조원) 대비 △1.5조원 축소, 전월(△2.0조원) 대비 +2.6조원 확대
ㅇ (주담대 : △1.4조원) 전년 동월(△0.1조원) 대비 △1.3조원 축소, 전월(△1.7조원) 대비 +0.3조원 확대
* 제2금융권 주담대 증감 현황(조원) : (’18.2) +0.2 → (’18.3) +0.0 → (’18.4) △0.1 / (‘19.2) △1.4 → (‘19.3) △1.7 → (‘19.4) △1.4
ㅇ (기타대출 : +2.0조원) 전년 동월(+2.2조원) 대비 △0.2조원 축소, 전월(△0.3조원) 대비 +2.3조원 확대
※ 제2금융권 업권별 가계대출 동향
① (상호금융) '19.4월중 △0.0조원 감소하여 전년 동월(+0.8조원) 대비 △0.8조원 축소, 전월(△1.0조원) 대비 +1.0조원 확대
* 상호금융 주담대 증감(조원, 새마을금고 포함) :
(’18.2) △0.2 → (’18.3) △0.2 → (’18.4) △0.1 / (‘19.2) △1.2 → (‘19.3) △1.1 → (‘19.4) △1.0
② (보 험) '19.4월중 △0.1조원 감소하여 전년 동월(+0.4조원) 대비 △0.5조원 축소, 전월(△0.3조원) 대비 +0.2조원 확대
③ (저축은행) '19.4월중 +0.4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0.3조원) 대비 +0.1조원, 전월(△0.3조원) 대비 +0.7조원 확대
④ (여전사) '19.4월중 +0.3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0.7조원) 대비 △0.4조원 축소, 전월(△0.4조원) 대비 +0.7조원 확대
가계대출 증감 추이 (금감원 속보치 기준, 조원)
'17년중 (1~4월) | '18년중 (1~4월) | '19년중 (1~4월) | |||||||||||
3월 | 4월 | ... | 3월 | 4월 | ... | 3월 | 4월 | ||||||
은 행 | +10.6 | +3.0 | +4.6 | +14.6 | +4.3 | +5.1 | +11.0 | +2.9 | +4.5 | ||||
제2금융권 | +11.9 | +2.5 | +2.6 | +6.0 | +0.7 | +2.1 | △4.0 | △2.0 | +0.6 | ||||
상호금융 | +7.6 | +1.9 | +1.9 | +0.6 | △0.0 | +0.8 | △4.0 | △1.0 | △0.0 | ||||
신 협 | +0.53 | +0.07 | +0.12 | △1.11 | △0.35 | △0.20 | △0.60 | △0.12 | △0.01 | ||||
농 협 | +3.36 | +0.89 | +0.70 | +1.50 | +0.34 | +0.90 | +0.05 | +0.02 | +0.40 | ||||
수 협 | +0.12 | +0.04 | +0.06 | △0.23 | △0.06 | △0.08 | +0.06 | △0.02 | +0.04 | ||||
산 림 | +0.17 | +0.04 | +0.05 | +0.20 | +0.05 | +0.07 | +0.19 | +0.04 | +0.06 | ||||
새마을금고 | +3.46 | +0.87 | +0.93 | +0.23 | △0.04 | +0.07 | △3.71 | △0.94 | △0.52 | ||||
보 험 | +1.6 | +0.1 | +0.3 | +1.5 | +0.1 | +0.4 | △0.8 | △0.3 | △0.1 | ||||
저축은행 | +1.4 | +0.1 | +0.3 | +0.7 | +0.1 | +0.3 | +0.7 | △0.3 | +0.4 | ||||
여 전 사 | +1.2 | +0.4 | +0.2 | +3.2 | +0.6 | +0.7 | +0.2 | △0.4 | +0.3 | ||||
全금융권합계 | +22.5 | +5.5 | +7.3 | +20.6 | +5.0 | +7.3 | +7.0 | +0.9 | +5.1 |
* 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 대출 포함, 속보치 기준으로 향후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
2 | 평가 및 향후계획 |
□ ’19.4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+5.1조원으로 전년 동월(+7.3조원) 대비 △2.2조원 축소
ο 대출 유형별로 보면, 주담대의 경우 +2.3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2.4조원) 대비 △0.1조원 축소하였으나,
- 은행권 주담대(+3.6조원)는 집단대출 확대*, 정책상품 은행재원 취급**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(+2.5조원) 대비 +1.1조원 증가
* 은행권 집단대출 증가규모(조원) : (’18.4) +1.0 → (’19.4) +2.1
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의 지속된 공급으로 은행권 집단대출 증가규모가 확대되는 추세
[수도권 아파트 준공실적(국토교통부, 만호) : (’18.2~3월) 3.0 → (’19.2~3월) 3.9]
** 버팀목 전세대출의 은행재원 취급분(+0.6조원) 제외 시 전년 동월 대비 +0.5조원 증가
ο 기타대출(+2.9조원)은 DSR 관리지표 도입 등으로 인해 전년 동월(+4.9조원) 대비 △2.0조원 축소
□ 반면, ’19.4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 증가규모를 전월(+0.9조원)과 비교시 +4.2조원 확대되었으나, 이는 은행권 집단대출* 증가와 계절적 효과**의 영향으로 판단
* 은행권 집단대출 증가규모(조원) : (’19.2) +0.4 → (’19.3) +1.1 → (’19.4) +2.1
** 직전 3년간(’16~18년) 전금융권 가계대출 평균 증가규모(조원) : (2월) +5.1 → (3월) +6.2 → (4월) +7.8
□ ’19.1~4월까지 증가규모는 +7.0조원으로 전년 동기(+20.6조원) 대비 △13.6조원 축소*되는 등 증가세 하향안정화 기조는 지속
* 전금융권 1~4월중 가계대출 증감 추이(조원) :
(’16.1~4월) +26.8 → (’17.1~4월) +22.5 → (’18.1~4월) +20.6 → (’19.1~4월) +7.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