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9년 6월중 가계대출 동향(잠정)
◇ ‘19.6월중 全금융권*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+5.2조원으로 전년 동월(+6.2조원) 대비 △1.0조원, 전월(+5.9조원) 대비 △0.7조원 축소
* 금융감독원 감독ㆍ검사대상(은행, 보험사, 상호금융, 저축은행, 여전사) + 새마을금고
ㅇ 은행권(+5.4조원) 증가규모는 전년 동월 및 전월(+5.0조원) 대비 +0.4조원 확대
ㅇ 제2금융권(△0.2조원)은 전년 동월(+1.2조원) 대비 △1.4조원, 전월(+0.9조원) 대비 △1.1조원 축소
- 제2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’19.5월말 대비 △0.2조원 순감소
◇ ’19년 상반기 중 증가규모는 +18.1조원으로 전년 동기(+33.6조원) 대비 △15.5조원 축소 |
1 |
| ‘19.6월중 금융권 가계대출 동향 |
□ (개 요) ‘19.6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은 +5.2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6.2조원) 대비 △1.0조원 축소(전월 +5.9조원 대비 △0.7조원 축소)
ㅇ 이는 全금융권 주담대 및 기타대출 증가규모가 동시에 축소된 데 기인(주담대 +2.9조원 → +2.6조원, 기타대출 +3.4조원 → +2.6조원)
□ (은행권) ‘19.6월중 +5.4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 및 전월(+5.0조원) 대비 +0.4조원 확대
ㅇ (주담대 : +3.9조원) 집단대출 확대* 등에 따라 전년 동월(+3.2조원) 대비 +0.7조원, 전월(+2.9조원) 대비 +1.0조원 확대
* ’19.5~6월 수도권 입주물량이 확대되며 은행권 집단대출 증가
[※ 5~6월 수도권 입주물량(국토부 사용검사실적 기준, 만호) : (‘17) 2.8 (’18) 4.0 (‘19) 4.7]
* 은행권 집단대출 증가규모(조원) : (’18.6) +1.5 → (’19.5) +1.4 → (’19.6) +2.0
** 은행권 주담대 증가는 ’19.6월중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버팀목 전세대출 취급액(+0.7조원)이 기금이 아닌 은행 주담대로 계상된데 기인(이를 제외할 경우 ’19.6월중 증가규모는 전년 동월(+3.2조원)과 동일한 수준)
ㅇ (기타대출 : +1.5조원) 전년 동월(+1.8조원) 대비 △0.3조원, 전월(+2.1조원) 대비 △0.6조원 축소
- 기타대출 중 신용대출은 +1.2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0.9조원) 대비 +0.3조원 확대, 전월(+2.0조원) 대비 △0.8조원 축소
□ (제2금융권) ‘19.6월중 △0.2조원 순감하여 전년 동월(+1.2조원) 대비 △1.4조원, 전월(+0.9조원) 대비 △1.1조원 축소
ㅇ (주담대 : △1.3조원) 전년 동월(△0.4조원) 대비 △0.9조원, 전월(△1.1조원) 대비 △0.2조원 축소
ㅇ (기타대출 : +1.1조원) 전년 동월(+1.5조원) 대비 △0.4조원, 전월(+1.9조원) 대비 △0.8조원 축소
- 기타대출 중 신용대출은 +0.2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0.2조원)과 유사, 전월(+0.7조원) 대비 △0.5조원 축소
※ 제2금융권 업권별 가계대출 동향
① (상호금융) '19.6월중 △0.0조원 감소하여 전년 동월(+0.6조원) 대비 △0.6조원 축소, 전월(△0.2조원) 대비 +0.2조원 확대
② (보 험) '19.6월중 △0.1조원 감소하여 전년 동월(+0.3조원) 대비 △0.4조원, 전월(+0.2조원) 대비 △0.3조원 축소
③ (저축은행) '19.6월중 +0.0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(+0.1조원) 대비 △0.1조원, 전월(+0.3조원) 대비 △0.3조원 축소
④ (여전사) '19.6월중 △0.1조원 감소하여 전년 동월(+0.2조원) 대비 △0.3조원, 전월(+0.6조원) 대비 △0.7조원 축소
가계대출 증감 추이 (금감원 속보치 기준, 조원)
| '17년중 (1~6월) |
| '18년중 (1~6월) |
| '19년중 (1~6월) |
| |||||||
5월 | 6월 | ... | 5월 | 6월 | ... | 5월 | 6월 | ||||||
은 행 | +23.0 | +6.3 | +6.1 |
| +25.0 | +5.3 | +5.0 |
| +21.4 | +5.0 | +5.4 | ||
제2금융권 | +17.1 | +3.7 | +1.5 | +8.6 | +1.4 | +1.2 | △3.4 | +0.9 | △0.2 | ||||
| 상호금융 | +11.2 | +2.3 | +1.3 | +1.6 | +0.4 | +0.6 | △4.3 | △0.2 | △0.0 | |||
|
| 신 협 | +0.59 | +0.17 | △0.11 | △1.66 | △0.28 | △0.27 | △0.67 | △0.07 | +0.00 | ||
| 농 협 | +4.89 | +0.85 | +0.68 | +3.16 | +0.71 | +0.94 | +0.73 | +0.29 | +0.39 | |||
| 수 협 | +0.18 | +0.09 | △0.03 | △0.24 | △0.05 | +0.04 | +0.14 | +0.01 | +0.07 | |||
| 산 림 | +0.28 | +0.05 | +0.06 | +0.30 | +0.06 | +0.04 | +0.29 | +0.06 | +0.04 | |||
| 새마을금고 | +5.23 | +1.12 | +0.65 | +0.03 | △0.05 | △0.15 | △4.76 | △0.53 | △0.52 | |||
| 보 험 | +2.5 | +0.4 | +0.4 | +2.2 | +0.4 | +0.3 | △0.8 | +0.2 | △0.1 | |||
| 저축은행 | +1.5 | +0.2 | △0.1 | +0.9 | +0.1 | +0.1 | +1.0 | +0.3 | +0.0 | |||
| 여 전 사 | +1.9 | +0.7 | △0.0 | +3.9 | +0.5 | +0.2 | +0.7 | +0.6 | △0.1 | |||
全금융권합계 | +40.2 | +10.0 | +7.7 | +33.6 | +6.8 | +6.2 | +18.1 | +5.9 | +5.2 |
* 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 대출 포함, 속보치 기준으로 향후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
2 |
| 평가 및 향후계획 |
□ ’19.6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 증가규모(+5.2조원)는 주담대, 기타대출 모두 축소되며, 전년 동월(+6.2조원) 대비 △1.0조원 감소
ㅇ 주담대가 전년 동월 대비 △0.2조원 감소한 것은 은행권은 정책상품의 은행재원 취급분(+0.7조원)의 영향으로 증가*(+0.7조원)하였음에도, 제2금융권 주담대가 크게 감소(△0.9조원)한 것에 기인
* 다만, 은행권도 정책상품의 은행재원 취급분(+0.7조원)을 제외하면, 전년 동월(+3.2조원)과 동일한 수준
ㅇ 기타대출도 DSR 도입(은행권 ’18.10월, 제2금융권 ’19.6월)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△0.8조원 감소
* 은행권 기타대출 증감 추이(조원) : (’18.6월중) +1.8 → (’19.6월중) +1.5
제2금융권 기타대출 증감 추이(조원) : (’18.6월중) +1.5 → (’19.6월중) +1.1
□ 동시에 ’19.6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전월(+5.9조원) 대비로도 △0.7조원 축소되었는데,
ㅇ 이는 5월(가정의 달) 일시적 자금수요로 인해 확대되었던 기타대출 증가규모가 크게 감소(△1.4조원)한 것에 기인
* 全금융권 기타대출 증감(조원) : (’19.5월) +4.0 → (’19.6월) +2.6
□ 한편, ’19년 상반기 중 증가규모(+18.1조원)는 전년 동기(+33.6조원) 대비 △15.5조원 축소되며 증가세 둔화가 지속*
* 全금융권 상반기 가계대출 누적증감(조원) :
(’16.上) +50.4 → (’17上) +40.2 → (’18上) +33.6 → (’19上) +18.1
ㅇ 다만, 가계대출은 통상 하반기에 증가*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계속해서 대출 동향을 모니터링하며, 증가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
* 연도별 상·하반기 가계대출 증가액 비교(상/하반기, 조원) :
(‘15) 42.7 / 66.9 (’16) 50.4 / 72.8 (‘17) 40.2 / 50.4 (‘18) 33.6 / 41.6
'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도시철도 7호선 타고 청라국제도시까지 바로 간다. (0) | 2019.07.15 |
---|---|
12일 과천 우정병원 정비사업 착공식 참석…공사중단 건축물 정비사업 활성화 강조 (0) | 2019.07.12 |
6월 신규 임대사업자 4,632명 및 임대주택 9,015호 등록 (0) | 2019.07.11 |
LH, 2분기 행복주택 4,640세대 청약접수 개시 (0) | 2019.07.10 |
日 수출통제조치 WTO에 첫 공식 문제제기 (0) | 2019.07.10 |